반응형

수출입/HS Code 105

접착제 수출입 HS코드 품목분류

안녕하세요. 오늘은 접착제의 HS코드에 대해 정리해보려 합니다. 접착제는 관세율표 6부 화학공업이나 연관 공업의 생산품으로 분류되고요. 기본적으로 해당 물품의 재질과 포장 상태, 용도 등에 따라 세분화됩니다. 먼저 접착제와 관련된 관세율표 부 규정과 호 해설을 정리해봅니다. 1. 관련규정 (1) 소매용 포장 관련 2. 이 부의 주 제1호에 규정한 물품을 제외하고는 일정한 투여량으로 한 것이나 소매용으로 한 것을 이유로 제3004호·제3005호·제3006호·제3212호·제3303호·제3304호·제3305호·제3306호·제3307호·제3506호·제3707호·제3808호로 분류할 수 있는 물품은 해당 각 호로 분류하며, 이 표의 다른 호로 분류하지 않는다. 16부 주 2호 규정입니다. 위에서 열거된 HS코드에..

수출입/HS Code 2022.10.27

USB 메모리 수출입물품 HS코드 품목분류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품목분류입니다. ㅎ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USB 메모리에 대한 HS코드인데요. 뭐 사실 쉽습니다. USB 메모리는 8523호에 특게되어 있거든요.  [1] USB란..?Universal Serial Bus의 줄임말로 범용 직렬 버스를 말합니다. 물체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컴퓨터와 주변 기기를 연결하는데 적용되는 입출력 표준 프로토콜의 일종입니다. 일반적으로 USB 하면 메모리를 떠올리지만요.  USB가 적용된 연결 케이블의 종류는 다양한데요. 사진으로 보면 딱 아실 것 같습니다. [2] USB HS코드네 암튼, USB 메모리는 8523호에 분류되고, 호의 용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8523호?디스크·테이프·솔리드 스테이트(solid-state)의 비휘발성 기억장치·스마트카드와..

수출입/HS Code 2022.10.20

플라스틱 재질 종류, 영어, HS코드 품목분류

플라스틱은 재질에 따라서 여러 가지 종류로 나뉘는데요. 플라스틱으로 만든 제품이 워낙 많다 보니 품목분류를 하면서 자연스럽게 PP니 PET니 하는 용어에 익숙해지더라고요. 그런 의미에서 오늘은 플라스틱 관련 용어와 품목분류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아래 품목분류는 일차제품을 기준으로 분류했어요. 일차 제품이란 아래 규정에 해당하는 것만 대상이고, 액체나 페이스트, 벌크 형태가 아닌 시트나 기타 정제된 형태라면 다른 HS코드에 분류되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일차 제품이란? 제3901호부터 제3914호까지에서 "일차 제품(Primary Form)"은 다음 각 목의 형태인 것에만 적용한다. 가. 액체나 페이스트(paste)[분산 물(에멀션, 서스펜션)과 용액을 포함한다] 나. 불규칙한 모양의 블록, 럼프..

수출입/HS Code 2022.10.05

타포린Tarpaulin 방수포 수출입 HS코드 품목분류

오래간만에 바쁜 일과를 보내고 있읍니다. 일 안 하다가 하니까 힘드네용 ㅋㅋ 암튼 오늘도 어김없이 HS코드 분류하다가 재밌는 걸 발견해서 포스팅해봅니다. 인보이스에 코니탑..? 이라고 적혀 있었는데요. HS코드를 따려고 여기저기 찾아보니 코오롱에서 생산한 타포린의 상표명이라고 합니다. 이건 마치 대일밴드처럼, 원래 명칭은 밴드지만 대일밴드가 된 것 같은 너낌...? 타포린도 타포린이라고 안 하고 코니탑~ 코니탑~ 하고 부르는 것 같더라고요. (코니탑에서 탑이 Tarp가 아닐까 의심됨 ㅎ) 카페 어닝칠 때 천막이라던지 캠핑 타프 등으로 사용되는데 아예 코니탑으로 명칭을 정해두고 파는 업체가 많았습니다. 암튼 오늘은이 타포린 방수포와 관련된 HS코드를 정리해보았습니다. Tarpaulin 이란? 타포린 a.k..

수출입/HS Code 2022.09.29

플라스틱 PET 영어, HS코드 품목분류

오늘은 PET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PET는 플라스틱 재질의 일종인데요. 페트병 할 때 페트입니다. 관세율표상 플라스틱의 정의는 다음과 같습니다. (39류 주 1호) 성형·주조·압출·압연이나 그 밖의 외부작용(보통 가열과 가압을 말하며, 필요한 때에는 용제나 가소제를 가할 수 있다)에 따라 중합할 때나 그다음 단계에서 변형하고, 외부 작용을 배제하여도 그 형태를 유지하려는 성질을 지닌 제3901호부터 제3914호까지에 해당하는 물질을 말한다. 또한 이 표의 플라스틱에는 벌커나이즈드 파이버(vulcanised fibre)를 포함한다. 다만, 제11부의 방직용 섬유재료로 보는 것은 제외한다. 외부 작용에 따라 변형하고, 외부 작용이 없어도 그 형태를 유지하려는 성질을 지닌 물질을 플라스틱으로 정의합니다...

수출입/HS Code 2022.09.20

배터리(일차전지, 축전지) 수출입 HS Code

오늘은 배터리의 HS코드에 대해 포스팅해봅니다. 사실 배터리 하면 실생활에서 자주 사용되는 건전지를 떠올리실 텐데요. 그 배터리를 구성하는 요소가 액체 여부에 따라 명칭이 달라진답니다. (1) 습전지(wet cell) 전해질이 액체이며 흐르는데 제약이 없다. 습전지는 방향(方向 : orientation)에 민감하다. (2) 건전지(dry cell) 전해질이 흡착제나 흡착 겔에 고정되어 있다. 사용하는 전해질은 액체일 수 있으나, 흐르는데 제약이 있다. 건전지(dry cell)는 주로 휴대용 장치에 사용한다. (3) 불활성전지(inert cell)·리저브(reserve) 전지·리저브 배터리 사용하기 전에 물이나 전해질의 전부나 일부를 첨가하거나 전해질이 이온적으로 전도력이 있도록 가열되어야 한다. (4) ..

수출입/HS Code 2022.09.13

스펀본드(SPUN BOND) 부직포 뜻 제조공정 HS Code

오늘의 주제. 부직포 종류 중의 하나인 스펀본드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먼저, 부직포에 대해 알아봅니다. 부직포(nonwoven)는 방직용 섬유를 일정한 방향으로 가지런히 놓거나 아무렇게나 배열하고 접착시킨 시트(sheet)나 웹(web)을 말합니다. 마스크를 제조할 때 사용하는 원단이 바로 부직포인데요. 부직포는 크게 웹 형성 → 접착 → 완성 가공으로 제조되는데요. 관세율표 5603호에 분류되는 부직포에 대한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HS코드를 공부하다 보면 척척박사 만물박사가 될 수 있읍니다. ㅋ ◈부직포? 1. 웹 형성(web formation) 웹(web)을 만드는데는 다음과 같은 네 가지의 기본적인 방법이 있습니다. ⓐ Dry-Laid 공정 : 평행·교착 또는 아무렇게나 배열되어 있는 섬유를..

수출입/HS Code 2022.09.07

가열 믹서기 HS CODE 품목분류

전자제품의 진화는 아직도 무궁무진한 것 같습니다. 블렌더(Blender)도 있고, 전기주전자(electric kettle)도 있는데 가열 믹서기라는 것도 있나 봅니다. ㄷㄷㄷㄷ 갈아서 끓여먹는 음식으로는 이유식이나 수프, 죽, 추어탕 정도가 생각나네요. 암튼 이 가열 믹서기의 존재를 알고 나니 품목분류는 어떻게 해야 하나-라는 생각이 갑자기 들었읍니다. 믹서기가 분류되는 HS코드가 있고, 전기주전자나 에어프라이어 같은 가열기기가 분류되는 HS코드가 따로 있거든요. 그래서 정리해보았습니다. ㅎㅎㅎ 1. 블렌더 HS CODE 믹서기는 분류가 쉽습니다. 관세율표에 별도로 특게되어 있고 주 규정도 있거든여. 관세율표 85류 주 4호 규정입니다. 4. 제8509호에는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다음 각 목의 전..

수출입/HS Code 2022.09.02

친환경 식물성 수세미(loofah) HS코드 품목분류

엄청난 무더위로 지구온난화와 환경 파괴를 몸으로 느끼고 있습니다. 기후 위기에 대한 경각심 때문인지 여러모로 친환경 제품과 라이프 스타일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는데요. 특히 재활용할 수 있거나 자연 분해되는 제품들이 하나둘씩 보이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런 의미에서 오늘은 친환경 식물 수세미의 HS코드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1. 천연 수세미? 수세미 = 그릇 설거지하는 데 쓰는 물품으로 알고 계실 텐데요. 사실 수세미는 오이와 비슷하게 생긴 덩굴 식물의 열매입니다. 아래 사진처럼 생겼습니다. ㅋ 왼쪽의 수세미 열매를 벗기면 구멍이 뽕뽕 뚫려 있는 질긴 섬유질이 나오는데요. (오른쪽 사진처럼) 건조한 상태에서는 거칠고 딱딱한데 물에 적시면 부드러워지는 특성이 있고, 구멍이 많아서 세제를 조금만 써도 거품..

수출입/HS Code 2022.07.27

3D프린터 3D PRINTER HS CODE 품목분류 ft. 2022 HS 개정

오늘은 3D 프린터의 품목분류에 대해 정리해봅니다. 3D Printer는 다양한 재료를 이용해서 3차원 공간에 입체적인 대상을 성형해내는 기계를 말합니다. 플라스틱 같은 재료로 가장 밑바닥 단면부터 한층 한층 쌓아 올리듯 완성해 내는 방식이 가장 대표적이겠습니다. 아래 영상처럼 3D 프린터로 이것저것 만들어보는 사람들도 많네요 ㅎ 3D 프린팅 기술은 향후 미래를 주도할 전망있는 기술로 인정받고 있는데요. 돈나무(=캐시 우드) 언니로 유명한 ARK에서도 미래 유망기술 중 하나로 3D 프린팅 기술을 꼽고 있기도 합니다. (근데 왜 주가는 그 모양인지..? ;;;) 이러한 최신 경향을 반영해서 HS협약도 2022년을 기점으로 전면 개정되었습니다. 이로 인해 2022년 전후로 3D 프린터의 HS code가 정말..

수출입/HS Code 2022.07.25

수출입 HS CODE 찾는 법, HS코드 검색 방법

오늘은 수출입을 할 때 필수로 알아야 할 HS코드 검색하는 방법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관세행정에 종사하는 사람이라면 거의 100% 유료 사이트인 씨엘을 활용하지만, 일반 기업체에서 근무하시는 분들이라면 아래 사이트만으로도 충분한 정보를 얻으실 수 있답니다. ♠ 관세법령정보포털 HS코드를 검색하기 가장 좋은 사이트는 관세청 관세법령정보포털입니다. 사이트 메인에서 세계 HS 메뉴를 선택하시면 원하는 HS코드를 조회해 볼 수도 있고, 관세청 품목분류 사례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위 화면은 HS CODE 속견표인데요. 행 = 십의 자리, 열 = 일의 자리라고 보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위에서 네번째 행, 두번째 열에 있는 비료는 관세율표 31류에 해당합니다. 만약 HS코드에 대해 잘 모르신다면 이 속견표를 보..

수출입/HS Code 2022.07.18

리얼돌 수입 논란, HS코드 및 수입요령

안녕하세요. 2019년도였던가요...? 리얼돌 관련해서 이슈가 된 적이 있었는데요. 1. 리얼돌 수입통관보류처분 취소소송 세관에서 리얼돌을 풍속을 해하는 물품으로 봐서 수입통관을 보류했던 사건이 있었습니다. 해당 수입업체는 이러한 처분에 불복하여 소송까지 걸었는데요. 결국 대법원에서 수입통관보류처분 취소소송에서 원고 승소 판결한 원심을 심리불속행으로 기각해 업체가 최종 승소하였었죠. (참고로 위 판결은 "성인"여성을 본뜬 것에 한정이고, "미성년자" 형상은 업체가 패소했습니다. )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세청에서는 계속 수입을 허용하지 않다가 2022년 6월 30일자로 수입 요령 공지를 내렸습니다. 품목분류 결정사항을 반영하고 통관 보류, 허용 여부 판단 및 국회, 언론 대응 관련 통계 관리 등을 강화하기 ..

수출입/HS Code 2022.07.17

CPU COOLER 쿨러 HS코드 품목분류

아침에 출근하면 가장 먼저 하는 일. 개정된 법령, 고시 체크하기! 법이 바뀌었는지 모르고 기존대로 하다가 몇 번 크게 데이고 난 뒤 생긴 습관입니다. ㅋㅋㅋ 최근에 품목분류 변경 고시가 나왔는데요. 옛날에 분류했던 품목이 이번 변경 고시로 HS코드가 바뀌어서 식겁했습니다. ㅎ 바로 바로~~~~~ CPU COOLER인데요. 그 아시는 컴퓨터 본체에 장착되는 열 식혀주는 팬입니다. 저는 그냥 팬만 알고 있었는데, 이것저것 찾아보다 보니 COOLER의 세계도 무궁무진하더라고요? 냉매가 들어가서 찬 바람을 내는 공랭식 쿨러, 아예 물이 흐르면서 온도를 유지해주는 수냉식 쿨러 등등.... 게임 좋아하시는 분들이라면 잘 아실 것 같습니다. 암튼 이 FAN도 HS코드를 분류하기 꽤나 까다롭습니다. 알면 알수록 모르..

수출입/HS Code 2022.06.26

동물의 HS코드 품목분류(feat. 소)

안녕하세요. 오늘은 동물의 품목분류에 대해 간략히 소개해보고자 합니다. 동물이나 식물 같은 1차 산업 생산품들은 특히 가공 정도에 따라서 HS코드가 나뉘게 됩니다. *1차산업은 농업, 임업, 어업, 목축업 등 자연으로부터 생산하는 산업을 총칭합니다. 살아있는 소 0102호 신선,냉장한 쇠고기 0201호 냉동한 쇠고기 0202호 소뼈 0506호 소의 지방 1502호 소고기 패티 1602호 소의 피 0511호 소가죽 4101호 4단위 기준이기 때문에 상당히 포괄적인 분류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수출입/HS Code 2021.06.08

HS코드란? 품목분류, 관세부과의 기초

블로그 첫 포스팅 주제로 수출입 업무를 하시는 분이라면 들어봤을 HS코드에 대해 말씀드려볼까 합니다. HS코드 = 품목분류라고 할 수 있는데요. 수출입업무에서는 품목분류가 가장 중요하고, 또 흥미로운 분야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물건들에 대한 잡지식을 쌓아가는 재미가 있기 때문입니다. 1. HS코드란? HS코드는 Harmonized Commodity Description and Coding System의 약자로, 국제통일상품분류체계로 해석됩니다. 쉽게 말하면 수출입되는 모든 물품을 일정한 숫자 코드로 표현한 것입니다. 예를 들면, 위 사진의 물품에 대해서 한국에서는 포도주, 중국에서는 葡萄酒, 영미권국가에서는 Wine 으로 표현이 될 것입니다. 하지만, 국제통일상품분류..

수출입/HS Code 2021.06.0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