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입/HS Code

스냅 페라이트 기능 HS Code

법덕후 2025. 2. 3. 22:00

[1] 스냅 페라이트(Snap Ferrite)란?

스냅 페라이트란 말 그대로 스냅 형태의 페라이트를 의미합니다.

페라이트는 자성 물질의 일종으로, 주로 산화철(Fe₂O₃)과 기타 금속 산화물(니켈, 아연 등)로 구성된 세라믹인데요. 스냅 페라이트는 이 페라이트를 케이블에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도록 두 조각으로 분리되어 만든 스냅 형태의 것을 말합니다. 스냅 페라이트라고도 하고, 클립-온 페라이트라고도 하죠. 

 

페라이트는 아래와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1) 자기(magnetic)에 강한 저항력을 가지고 있어서 자기장 내에서 에너지를 흡수하거나 변환합니다. 페라이트가 고주파 대역에서 발생한 전자기파를 흡수해서 열로 변환하죠. 

(2) 또한, 전기저항도 높아서 전기가 흐르는 도체 내에 전류가 흐르면서 발생하는 와류 손실(Eddy Current)을 최소화합니다. 이에 따라 고주파에서 전류 노이즈를 줄여주게 되죠. 

 

그래서 페라이트는 아래와 같은 용도로 주로 사용됩니다. 

 

전자기 간섭 억제(EMI Suppression) 전자기 간섭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케이블, PCB, 또는 장비에 페라이트 코어를 장착하면 고주파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습니다. 예: 데이터 케이블에 장착된 페라이트 코어는 데이터 신호를 방해하는 외부 간섭을 줄여줍니다.
고주파 필터링 페라이트는 고주파 대역의 신호만 흡수하므로 저주파 신호는 통과시키면서 고주파 잡음을 차단합니다. 이는 신호 무결성을 유지하는 데 기여합니다.
회로 보호 전자 제품에서 노이즈와 간섭이 회로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특히 고속 신호 전송 회로나 무선 통신 장비에서 중요하게 사용됩니다.
전력 손실 감소 와류 손실을 줄임으로써 에너지 효율성을 높이고 장비의 발열을 줄이는 데 도움을 줍니다.

 

페라이트는 상기 표에서 정리한 바와 같이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하고, 회로를 보호하는 등의 기능이 있어서 주로 전자장비 케이블이나 전원공급장치, RF통신장비 등 다양한 전기용품에 활용되는데요.

그중에서도 특히 스냅 페라이트는 별도의 작업 없이 물품에 바로 탈부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서 주로 전기용품 케이블에 사용됩니다. 

 

[2] 스냅 페라이트 HS Code

1. 페라이트 자체만 제시된 경우

페라이트 자체는 산화철에 여러가지 물질을 혼합하여 고온에 구워서 만든 일종의 세라믹입니다. 

즉, 페라이트만 제시되거나 페라이트를 단순히 하우징이나 케이스에 담은 물품은 재질에 따라 "공업용 도자제 제품"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아래 관세청 분류사례를 가져와봤는데요. 산화철에 산화망간, 산화아연, 산화동, 산화마그네슘 등을 혼합하여 1,000도 이상의 고온에서 소결 하여 만든 페라이트 코어를 플라스틱 케이스로 감싸 만든 제품을 자기제 제품으로 보아 6909.19-0000호에 분류했네요. 

 

 

 

6909.19-0000호로 분류할 경우 기본관세율은 8%가 적용됩니다. 

 

2. 페라이트에 코일을 감아 만든 경우

1에서 살펴본 제품의 경우 페라이트가 주된 성분이고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페라이트 재질에 따라 '공업용 도자제 제품'으로 분류하였는데요. 페라이트뿐만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가 포함되어 있고 함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재질이 아닌 기능에 따라 분류됩니다. 

 

예를 들어 페라이트로 만든 시트나 판에 구리코일을 감으면 전자기 유도현상이 발생하여 전자기기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데요. 보통은 이를 유도자(inductor)라고 합니다. 

 

 

8504호 해설 (Ⅲ) 유도자
주로 단권의 코일로 되어 있으며, 교류회로에 삽입하면 자기유도에 따라 교류의 흐름을 제한하거나 저지한다. 무선회로·계기 등에 사용하는 작은 초크로부터 콘크리트에 설치되어 전력회로에 사용하는(예: 회로가 단락 되었을 때 전류의 흐름을 제한하기 위하여) 대형 코일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인쇄처리방법에 의해 개별 구성부품의 형태로 얻어진 유도자(inductor)나 인덕턴스(inductance)는 이 호에 분류한다. 음극선관용 디플렉션(편향) 코일은 제8540호에 분류한다.

 

 

 

이러한 부품류의 경우 전류의 흐름을 조정, 변환하는 부품으로 보아 8504호에 분류됩니다. 

 hsk 10단위로는 그 밖의 유도자에 해당하여 8504.50-2090호에 분류될 가능성이 가장 높겠습니다.

(물품의 스펙과 용도에 따라 10 단위는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참고용으로만 보시기 바랍니다.)

 

8504호에 분류되는 종류의 것도 관세청 분류사례를 가져와 봤습니다. 

 

 

링 형태의 페라이트에 구리선을 감아서 만든 유도자인데요. 

이 유도자를 PCB기판에 장착하면 고주파 전기 노이즈를 제거하거나 억제할 수 있습니다. 

 

상기 HS코드로 분류되는 경우 기본관세율은 WTO협정관세 0%가 적용되어 관세 없이 수입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